반응형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요?

고등학교 3학년 2학기는 고교 생활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학생들은 대학입시 및 진로 준비를 마무리하고, 성인으로서 사회 진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성, 책임감, 독림성을 확립합니다. 

 

자기 확립과 미래로의 전환기

에릭슨: 정체성 확립을 마무리하고 친밀감 vs 고림갑 단계(성인 초기)로의 이행

피아제: 형식적 조작기 완성으로, 자기 주도적이고 전략적인 판단력과 사고력 확립

"나는 이제 내 인생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준비가 되었을까?"

"내가 선택한 길에 자신감을 가지고 책임을 다할 수 있을까?"

 

1. 인지·정서·사회성 발달 - 이렇게 달라집니다. 

영역 고등학교 3학년 2학기의 주요 변화
인지 - 대학 진학 대비 학습 마무리 및 수능 이후 실생활 중심 학습
- 자기주도적 탐구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완성
- 대학 및 사회생활 대비 종합적 사고 능력
정서 - 입시 결과와 관련된 정서적 안정화 단계
- 진학·진로 결정 이후 자신감 및 자기효능감 확립
- 스트레스 관리 및 자기 이해 능력 심화
사회성 - 학교 공동체에서의 마지막 책임과 역할 마무리
- 후배 멘토링과 디러십 역할 최종 수행
-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독립적 책임감 확
반응형

2. 교과 편제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

교과 영역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특징
공통 및 진로 선택 과목 입시 마무리 후 자기주도 프로젝트 중심 운영
인문·사회 계열 심화 국어·사회 교과목 프로젝트 학습
자연·이공 계열 심화 수학·과학 교과목 프로젝트 학습
진로 연계 활동 대학 및 사회 진입 대비 자기개발 프로젝트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생활기록부 마무리 및 자기 성찰 활동

※고등학교 3학년 2학기는 입시 이후 미래 준비와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3.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교과 주요 내용
국어 심화 - 문학·철학·사회 주제의 통합적 탐구 프로젝트
- 독서 및 글쓰기 자기주도적 탐구
수학 심화(미적분·확률통계) - 대학 진학 이후 대비한 실생활 수학 프로젝트
- 자기주도적 수학 탐구 및 결과 발표
영어 심화 - 대학 전공 및 사회 진입 후 활용 영어 프로젝트
- 영어 발표 및 실생활 활용 연습
사회(경제·정치·사회문화) - 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및 심층 토론 활동
- 글로벌 사회 이슈 분석 및 제안서 작성
과학(물리학·화학·생물학 등) - 대학 및 실생활 대비 심화 탐구 프로젝트
- 실험 설계 및 발표 활동
기술·가정/정보 - 진로 및 대학 전공 연계 ICT 프로젝트 수행
- 생활 및 진로 중심의 기술 활용 활동
예술·체육 - 자기표현과 창작 활동 마무리 및 발표회
- 평생 운동 계획 수립 및 체력 관리
진로와 직업 - 진로 및 전공 확정, 대학 생활 설계
- 사회 진입 이후 직업 준비 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 학교생활기록부 최종 점검 및 먼담
- 진로 및 자기개발 포트폴리오 최종 완성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vs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무엇이 달라질까요?

구분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위상 입시 대비 및 진학 실행기 입시 마무리 및 사회 진입 준비
인지 수능 및 대학별 전형 대비 실생활·진학 후 자기주도 프로젝트 중심
정서 진학 관련 스트레스 및 목표 달성력 최고조 입시 이후 정서적 안정 및 자기효능감 확립
사회성 사회적 책임 및 리더십 정리 독립적 책임감 및 자회 진입 준비 완료
교육과정 실전 입시 대비 중심 진학 후 활용 및 자기개발 활동 중심
창체 진학 전략 및 포트폴리오 완성 최종 자기개발 활동 및 포트폴리오 마무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