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요?

고등학교 1학년 2학기는 고등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난 후, 학행들이 본격적으로 자신의 학습 능력과 진로 목표를 구체화하는 시기입니다. 학습의 심화 및 자기주도적 탐구가 더욱 강조됩니다. 

 

진로 구체화와 자기주도성 강화의 시기

에릭슨: "정체성 vs 역할 혼란" 단계의 명확화와 자기 인식 심화

피아제: 형식적 조자기 고급 수준 - 복잡한 개념 통합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

"나의 목표와 진로는 더 명확해졌는가?"

"나의 선택이 나와 주변에 어떤 영향을 줄까?"

 

1. 인지·정서 ·사회성 발달 - 이렇게 달라집니다. 

영역 고등학교 1학년 2학기의 주요 변화
인지 - 고교 심화 학습 개념 완성 및 응용력 확장
-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및 연구 능력 강화
- 복잡한 문제 해결과 창의적 사고력 발전
정서 - 진로 학습에 대한 명확한 목표 설정으로 자신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 감정 조절, 스트레스 관리 및 회복 탄력성 강화
- 정서적 자율성 증가
사회성 - 학교 공동체 내에서 책임 있는 역할과 협력적 활동 수행
- 학생회·동아리 리더시비 발휘 및 협업 능력 성숙
- 효과적인 소통 능력과 성숙한 인간관계 구축

 

2. 교과 편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준)

교과 영역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특징
국어·수학·영어 심화 및 응용력 중심의 학습, 논술형 평가 지속
통합사회·통합과학 사회·과학의 융합적 문제 해결 및 프로젝트 강화
한국사 근현대사 중심 심화 및 응용 학습
기술·가정·정보 AI·SW 프로젝트 심화 및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
예술·체율 창작 및 응용 프로젝트 완성
진로와 직업 진로 구체화, 개인 포트폴리오 완성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 활동 심화, 자율적 동아리 프로젝트 성과 공유

 

3.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교과 주요 내용
국어 - 심화된 논술 및 발표력 완성
- 고전 및 현대 문학 통합적 비평 능력 향상
- 주제 중심의 통합 프로젝트 수행
수학 - 함수의 응용 및 심화(삼각함수 기초 개념 도입)
- 공간 도형 및 기하학 심화 학습
- 심화 확률·통계 응용 문제 탐구
영어 - 영어 심화 독해 및 논리적 작문 완성
- 글로벌 이슈 중심 토론 및 프로젝트 수행
- 학술적 글쓰기와 프레젠테이션 능력 강화
통합사회 - 현대 사회 이슈의 심화적 탐구와 국제적 쟁점 분석
- 통합적이고 비판적 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수행
- 글로벌 시민성 및 지속가능성 토의
통합과학 - 고급 탐구 실험 설계 및 연구 프로젝트 완성
- 과학 이슈 분석,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강화
- 융합적 과학적 사고력 향상
한국사 - 한국 근현대사 핵심 사건의 탐구 및 분석 능력 완성
- 역사적 비판적 사고 및 서술 능력 향상
기술·가정·정보 - AI·로봇·SW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완성
-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활용
- 디지널 윤리 실천 프로젝트 수행
예술·체육 - 개인 창작 프로젝트 완성 및 발표
- 평생 체력 관리 및 개인화된 운동 프로그램 완성
진로와 직업 - 진로 포트폴리오 최종 완성 및 발표
- 대학 진학 및 직업 준비를 위한 전략적 실천
창의적 체험활동 - 진로 탐색 활동 성과 공유 및 발표
- 동아리 프로젝트 결과 발표 및 학교 행사 주관
- 봉사활동 심화 및 학교 공동체 성과 나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vs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무엇이 달라질까요?

구분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위상 고교 생활 적응과 목표 설정 시작 학습 시화 및 진로 목표 구체화 본격화
인지 심화 개념 학습 시작 응용력·탐구력 중심의 학습 능력 완성  
정서 정서적 독림성 및 스트레스 관리 시작 자기효능감 안정화, 감정 조절 능력 향상
사회성 새로운 공동체 적응 시작 책임 있는 역할 수행 및 협력적 관계 강화
교육과정 융합적·심화적 학습 시작 학습 심화 프로젝트 수행 및 진로 연계 강화
창체 진로 탐색 및 활동 참여 진로 탐색 결과 공유 및 자율적 프로젝트 완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