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요?

고등학교 2학년 2학기는 진로 결정과 고등학교 3학년 진입 준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자신의 선택 과목을 심화하고, 학업 성취도를 점검하며 대입 혹은 진학 경로를 전략적으로 구체화합니다. 

 

성숙한 정체성과 진학 전략의 수립기

에릭슨: "정체성 vs 역할 혼란" 단계 해결 마무리 시기

피아제: 형식적 조작기 확장 → 자기 평가·전략적 판단·미래 시뮬레이션 능력 강화

"지금 내 선택이 고등학교 이후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

"나는 어떤 방식으로 나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까?

 

1. 인지·정서·사회성 발달 - 이렇게 달라집니다. 

영역 고등학교 2학년 2학기의 주요 변화
인지 - 전택 과목의 심화 학습 정점
- 수행평가·탐구 보고서 능력 고도화
- 대학별 전형 정보 이해 및 전략 수립 가능
정서 - 입시·진로·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통제력 향상
- 장기적 관점에서 성과를 인식하고 동기 유지
- 회복 탄력성 및 자기 효능감 고정화
사회성 - 공동체 내 리더십 마무리 단계
- 후배 맨토링, 학급 대표 활동, 교내 프로젝트 총괄
- 또래 간 건전한 경쟁과 협력 조화 능력 강화
반응형

2. 교과 편제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

교과 영역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특징
공통 과목 한국사(2학기 무마리), 진로와직업 연계 활동
일반 선택과목 문학, 수학II, 영어독해, 사회문화, 화학I 등
진로 선택과목 융합과학, 심화 수학, 영어회화, 생명과학 실험 등
예술·체육 창작 프로젝트 발표 및 성찰 활동
기술·가정/정보 실생활 기반 ICT 프로젝트 정리 및 발표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성과 공유, 봉사 활동 마무리, 진로 포트폴리오 정리

※대학·진학 연계에 따라 교과 성적·수행 과제 비중이 높아지고, 진로 설계 기반 활동이 확교생활기록부에 적극 반영됨

 

3. 고등학교2학년 2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교과 주요 내용
국어 - 문학 작품 해석력 완성
- 수능형 독서 유형 분석
- 논리적 글쓰기 + 독서 포트폴리오 구성
수학(수II/미적분) - 함수·미분 개념 통합 정리
- 실생활 연계 응용 문제 해결 전략
- 이과 계열 학생 대상 심화 문제풀이 운영
영어(영어 독해·작문) - 주제별 독해 전략 완성
- 실전형 작문 및 인터뷰 수행 평가
- EBS기반 자료 분석 및 활용
사회문화/생활과 윤리 - 사회현상 설명력 강화
- 다문화·공정·인권 토의 중심 활동
- 사회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 실행
과학 탐구 - 화학 반응, 생명 시스템 정리
- 실험 경과 발표 및 피드백 수행
- 융합과학 주제에 대한 자료 분석 및 시각화
기술·가정/정보 - AI 코딩·데이터 활용·정보윤리 실천 활동
- 생활 문제 해결 중심 프로젝트 마무리
예술·체율 - 개인 창작·작품 발표
- 체력 평가 및 건강 활동 결과 공유    
진로와 직업 - 진로 인터뷰, 직업 체험 보고서 작성
- 중장기 목표 설정, 대학 입시 방향 설계
창의적 체험활동 - 동아리·자율활동 결과물 정리
- 진로 포트폴리와 최종 정리 및 교사 면담
- 학교생활기록부 기반 활동 정리 완료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vs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무엇이 달라질까요?

구분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위상  진로 확정과 선택과목 심화 시작 고등학교 3학년 준비 + 진학 전략 수립기
인지 탐구 프로젝트 본격화 심화 개념 정리 및 응용 능력 완성
정서 목표 집중력 정점 감정 통제력·자기 동기화 강화
사회성 리더십과 협력적 책임 수행 멘토링·대표 활동 마무리·공동체 총괄 능력 발휘
교육과정 선택 과목 위주 편성 시작 수행 과제 정리·입시 반영 활동 정돈
창체 진로 탐색 활동 중심 진로 성과물 완선 및 평가 정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