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학교 2학년 1학기,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요?

1학년에서 중등 생활과 교과 구조에 적응한 아이들은 2학년 1학기부터 심화·융합 학습·정체성 탐색, 또래 관계 재조정을 본격화합니다.

 

정체성 가속기

에릭슨 : 정체성 vs 역할 혼란 단계가 본격화.

피아제 : 형식적 조작기 능력이 확대되어 추상 논리·가설 연역적 추론이 활발.

"나는 어떤 가치·관심을 가진 사람인가?"

"미래 목표를 위해 지금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중학교 2학년 1학기

1. 인지·정서·사회적 발달 이렇게 달라집니다.

영역 중학교 2학년 2학기의 핵심 변화
인지 - 일차함수, 피타고라스 정리, 화학 반응식 등 고난도 개념
- 다중 자료를 비판 → 종합 → 창의 재조합
- 팀 기반 연구·발표·피드백 루틴 숙달
정서 - 사춘기 감정 기복 지속, 자기 조절 전략 정교화
- 또래 인정·SNS 영향 → 내적 기준으로 재해석
- 성취·좌절 경험을 장기 진로와 연결
사회성 - 친구 그룹 분화·재편, 소속감·배제 양면 경험
- 동아리·학생회에서 책임·리더십 실전
- 지역 사회·온라인 시민 의식 프로젝트 참

 

2. 교과 편제 (2002 개정, 중학교 2학년 공통)

교과 영역 1학기 특징
국어·수학·영어 수준별 심화 + 수행 평가 확대
사회 역사(조선 후기~근현대) + 지리(세계 경제·환경)
과학 물질 변화·유전·열·운동·지구 시스템 심화
기술·가정 메이커·AI·가정 경제 시뮬레이션
예술·체육 프로젝트·공연·스포츠 전술 수업
도덕 청소년 권리·정의·지속가능 윤리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심화·봉사·진로 (성과 기획 단계)
반응형

3. 중학교 2학년 1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교과 2학기 핵심 학습
국어 - 논설·비평문 근거 → 반론 → 재주장 구조 심화
- 고전·현대 문학 비교 비평
- 모둠 잡지·팟캐스트 제작
수학 - 일차함수 그래프, 기욱기 해석
- 피타고라스 정리, 삼각형 닮음
- 데이터 분포·상관 관계
사회 - 조선 후기 개혁·근대화 운동
- 세계화·다목적 기업·무역 구조
- 기후 위기·ESG 사례 조사
과학 - 화학 반응식·질량 보존 법칙
- 유전·염색체, 단백질 합성 개요
- 열에너지·일·운동 실
기술·가정 - 아두이노·센서 융합 메이커 프로젝트
- 가상 투자·가계부 시뮬레이션
- 3D 모델링·레이저 커팅
음악 - 화성 진행, 작·편곡 체험
- 국악 합주 심화
미술 - 포스터·브랜드 디자인
- 영상 편집·에니메이션 기초
체육 - 팀 경기 전술 심화, 건강 체력 프로그램
도덕 - 정의·인권·공정 거래·AI 윤리 토의
창체 - 동아리 기획서 작성·예산 편성
- 진로 로드맵 2차 개

 

중학교 1학년 2학기 vs 중학교 2학년 2학기, 무엇이 달라질까요?

구분 중학교 1학년 2학기 중학교 2학년 1학기
위상 적응 심화·성취 확산   심화 탐구·정체성 구체화 시작
심리 감정 관리 전략 정착 자기 조절 정교화, 진로·가치 고민
인지 확률·통계·화학 반응 기초 일차함수·피타고라스·유전·에너지 심화
정서 효능감 강화 장기 목표와 성취 연결, 메타인지 성찰
사회성 동아리 주도·협상 능력 상승 리더십·팔로워십 균형, 지역·온라인 활동
교육과정 융합 프로젝트 본격화 고난도 함수·과학 실험·AI 메이커 심화
창체 진로 로드맵 초안 동아리 기획·봉사·로드맵 2차 개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