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학교 1학년 1학기,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요?

중학교에 첫발을 디딘 아이들은 초등 6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과 체계·평가 방식·학교 문화에 적응해야 합니다. 

동시에 사춘기(청소년 초기)가 본격화되어 학습·정서·사회관계 전반에 큰 변화가 시작됩니다. 

 

정체성에 시동이 걸리는 시기

에릭슨 : 정체성 vs 역할 혼란 단계로 진입

피아제 : 형식적 조작기 초기 - 가설·추론·메타인지 발달.

아이들은 스스로 에게 묻습니다. 

"나는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고 있을까?"

"새로운 집단에서 어떻게 인정받을까?"  

중학교 1학년 1학기

1. 인지·정서·사회적 발달 - 이렇게 달라집니다. 

영역 중학교 1학년 1학기의 핵심 변화
인지 - 가설 설정·추론(수학 증명, 과학 실험)
- 테스트·그래프 -> 비판·종합·재구성
- 과목별 융합 프로젝트 첫 경험
정서 - 자율·독립 욕구 급증 vs 보호 필요성
- 사춘기 호르몬 변화로 감정 기복 상승
- 또래 인정·SNS 피드백에 민감
사회성 - 새집단 적응·서열 형성 과정
- 동아리·학생회 등 리더십 기회 확대
- 디지털 시민 의식(SNS 매너·저작권)학

 

2. 교과 편제 (2022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

교과 영역 과목 구성 & 1학기 특징
국어 ·수학 · 영어 기초 학격 진다 -> 수준별 수업
사회 역사(고대~조선 전기) + 지리 (세계 기후·생활)
과학 물질·생명·지구·물리 통합 단원
기술·가정 생활 기술·가정 경제·SW·AI 기초
예술·체육 음악·미술·체육 (과목별 전담)
도덕  인간 관계·윤리·인권·환경
제2외국어/한문* 학교 선택(1학년 2학기부터 가능)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자율·봉사·진

 

※재 2 외국어·한문은 1학년 군  선택 과목: 일부 학교 1학기 오리엔테이션. 

반응형

3. 중학교1학년 1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교과 2학기 핵심 학습
국어 - 설명·주장 글 비판적 읽기
- 매체·광고 해석·토론 글쓰기
- 학급 뉴스 제작 프로젝트
수학 - 정수·유리수 사칙연산
- 문자와 식, 일차방정식 도입
- 기본 통계(평균·중앙값)
사회(역사·지리) - 선사~ 조선 전기 역사 개관
- 세계 기후·문화권 비교
-  3D 지형 모델·웹 지도 활용   
과학 - 물질의 구성(원자·분자)기초
- 세포 구조·생명 현상
- 태양 지구·달 운동 모형 만들기
기술·가정 - 생활 발명 아이디어 스케치
- 엔트리·스크래치 코딩 기초
- 가정 경제·소비 계획
음악 - 조표·조성, 합창 기본
- 국악 장단 체험
미술 - 시각 이미지 읽기·비평
- 디지털 드로잉·캐릭터 디자인
체육 - 기초 체력 측정, 구기·육상 기초 전술
도덕 - 청소년 인권·디지털 윤리
- 가치 갈등 토의·역할극
창체 - 동아리 배정, 학급 자치 출범
- 진로 희망 설계서 초안 작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vs 중학교 1학년 1학기, 무엇이 달라질까요?

구분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중학교 1학년 1학기
위상 초등 졸업 결산·전환 준비 중등 생활·교과 구조 완전 전환
심리 정체성 확립·진로 구체화 사춘기 본격화, 자율 욕구 급증
인지 원기둥·비례·AI 해결 일차방정식, 원자·분자 등 추상 개념
정서 감정 조절 루틴 완성 감정 기복 상승, 자기 통제 재구성
사회성 프로젝트 결과 공유, 멘토링 새 또래 집단 형성, 학생회 적응
교육과정 AI·IoT 솔루션 발표 과목 세분화, 내신 평가·레벨 수업
창체 교내 페스티벌·졸업 행사 동아리 선택·진로 탐색 심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