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교실에는 2018년생 아이들이 앉아 있으며 2026년에는 2019년생입니다. 

입학 연도에 만 7세가 되는 아동으로, 인지적으로는 간단한 수 개념과 문해력을 갖추고 있으나, 사회적으로는 이제 막 공동체 구성원으로의 첫 발을 내딛는 시기입니다. 

정신분석 학자 에릭 에릭슨은 이 시기를 인간 발달 단계 중 네 번째인 '근면성 대 열등감' 단계로 보았습니다. 

아이는 이제 부모가 아닌 또래, 교사, 과제를 통해 '내가 얼마나 잘 해낼 수 있는가'를 시험받고 성취감을 느끼며 자아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실제로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동안 아이들은 다음과 같은 변화의 과정을 겪습니다. 

 

인지 측면 : 낱말을 일고 간단한 문장을 구성하며, 10 이하의 수 개념을 연산과 비교로 확장합니다. 

정서 측면 : 실패와 성공을 반복하며 '할 수 있다'는 감정(자기 효능감)을 형성합니다. 

사회적 측면 : 친구와의 놀이, 규칙 준수, 역할 나누기를 통해 '함께하는 삶'의 의미를 체득합니다. 

 

즉, 초등학교 1학년 1학기는 단순한 학습의 시작이 아닌, 아동이 처음으로 '사회적 전조'로서 나를 경험하는 결정적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어떻게 설계하고 지원하느냐에 따라 아이는 자신감 있는 학습자로 성장할 수도 있고, 반대로 위축된 태도를 내면화할 수 도 있습니다. 

 

1. 연도별 초등하교 입학생 생년월일

2025학년도 출생일자 2018년 01월 01일 ~ 2018년 12월 31일 만 7세

2026학년도 출생일자 2019년 01월 01일 ~ 2019년 12월 31일 만 7세

 

2. 교과 편제

기초 교과 : 국어, 수학 (개별 교과로 운영)

통합 교과 :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건강한 생활 (1~2학년군 전용 통합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 자율활동, 봉사활동 등 (학급 단위 자율 운영)

- 과학, 사회, 음악, 미술, 체육은 3학년부터 별도 교과로 분리됨

- 1~2학년군에서는 해당 내용이 통합교과 안에 융합되어 운영

 

3.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교과별 주요 학습 내용

국어

- 한글 자모 익히기

- 낱말 구성과 문장이해

- 듣고 말하기 기본 예절

- 그림책 감상과 감정 표현

수학

- 1~50까지 수의 순서와 크기

- 10 이하 덧셈과 뺄셈

- 기본 도형(삼각형, 사각형, 원 등)

- 길이, 수량, 무게의 비교

슬기로운 생활(자연 및 사회 이해 중심 통합 교과)

- 계절(봄/여름)의 특징 관찰

- 낮과 밤, 해와 그림자의 변화 이해

- 가족 구성원과 역할 이해

- 학교와 교실 공간 탐색과 규칙 이해

즐거운 생활 (예술 표현 중심 통합 교과)

- 노래 부르기, 간단한 율동 표현

- 찰흙, 그리기, 색채 표현

- 놀이를 통한 감정 표현과 협동 활동

건강한 생활 (신체 활동 및 생활습관 중심 통합 교과)

- 기본적인 몸의 움직임 익히기 (뛰기, 걷기 등)

- 손 씻기, 양치질 등 위생 습관

- 놀이 안전, 생활 안전 기본

창의적 체험 활동

- 친구 관계 형성 활동

- 학급 규칙 만들기

- 교통안전, 낯선 사람 대처 등 생활 중심 안전 교육

 

 

+ Recent posts